import Foundation
let N = Int(readLine()!)!
var arr = [Int]()
for _ in 0..<N {
arr.append(Int(readLine()!)!)
}
var resArr = arr.sorted()
for i in 0..<N{
print(resArr[i])
}
import Foundation
let N = Int(readLine()!)!
var arr = [Int]()
for _ in 0..<N {
arr.append(Int(readLine()!)!)
}
var resArr = arr.sorted()
for i in 0..<N{
print(resArr[i])
}
당연히 sort를 사용하여 푸는 문제라고 접근하여서 풀었더니 시간초과만 주구장창 나왔다...
N의 범위가 N(1 ≤ N ≤ 10,000,000) 이니 입력을 받을때와 print를 할때 시간이 오래걸리는것을 알았지만~
import Foundation
final class FileIO {
private let buffer:[UInt8]
private var index: Int = 0
init(fileHandle: FileHandle = FileHandle.standardInput) {
buffer = Array(try! fileHandle.readToEnd()!)+[UInt8(0)] // 인덱스 범위 넘어가는 것 방지
}
@inline(__always) private func read() -> UInt8 {
defer { index += 1 }
return buffer[index]
}
@inline(__always) func readInt() -> Int {
var sum = 0
var now = read()
var isPositive = true
while now == 10
|| now == 32 { now = read() } // 공백과 줄바꿈 무시
if now == 45{ isPositive.toggle(); now = read() } // 음수 처리
while now >= 48, now <= 57 {
sum = sum * 10 + Int(now-48)
now = read()
}
return sum * (isPositive ? 1:-1)
}
}
let file = FileIO()
let N = file.readInt()
var arr = Array(repeating:0,count:10001)
for _ in 0 ..< N {
let i = file.readInt()
arr[i] += 1
}
var res = ""
for i in 1...10000 {
res += String(repeating:"\(i)\n",count:arr[i])
}
print(res)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복사
216
예제 출력 1복사
198
코드
import Foundation
let N = Int(readLine()!)!
var res = 1
for i in 0 ..< N{
var temp = i
var sum = 0
while( temp != 0){
sum += temp % 10
temp /= 10
}
if (sum + i == N){
res = i
break
}
}
print(res)